본문 바로가기
포유류

알고 보면 순한 동물 고릴라

by 드마메르 2023. 3. 28.

고릴라라고 하면 검은색 털에 유인원 중 가장 거대한 몸집으로 무서워 보이기도 하지만 알고 보면 초식성 동물로 매우 순한 동물입니다. 성격도 매우 온순하여 사람을 보고 먼저 공격하는 일도 없습니다. 하지만 위협을 받게 되면 돌변하여 무서울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실버백의 의미

고릴라는 다른 유인원과 마찬가지로 수명이 긴 동물 중 하나입니다. 야생에서 자란 고릴라는 35~40년 정도 산다고 되어 있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더 오래 살 수도 있습니다. 고릴라는 일반적으로 출산 간격이 4~6년으로 긴 동물입니다. 고릴라는 새끼를 낳은 후 다음 출산 전에 한 마리의 새끼를 키우는 데 집중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긴 출생 간격은 자연적으로 고릴라라 생태계를 파괴하지 않고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고릴라는 생후 몇 년 동안 어미에게 크게 의존하며 자랍니다. 그러기 때문에 유아 사망률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고릴라는 3~6세가 되면 스스로 움직이고 먹이도 혼자서 찾아 먹습니다. 일반적으로 10~12세 사이에 첫 출산을 하며 집단 내에서 사회적 유대를 유지하며 무리를 키워나갑니다. 고릴라는 성숙하고 우세한 수컷을 실버백이라고 부릅니다. 등의 독특한 은색 또는 회색 머리카락에서 유래 되었으며 성숙함에 따라 발달합니다. 실버백은 그룹의 사회 구조와 역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고릴라는 일부다처의 짝짓기 체계를 가지며 수컷 한 마리 실버백이 그룹 내에서 여러 암컷과 교미합니다. 실버백은 그룹에서 다른 고릴라들을 보호하며 리더십을 담당합니다. 암컷들은 실버백에게 매력을 느끼며 짝짓기까지 이어집니다. 암컷 고릴라는 인간과 유사한 월경 주기를 가지고 있으며 대략 28일 정도입니다. 그들은 각 주기 내에서 며칠 동안 지속되는 발정기를 경험합니다. 발정기 동안 암컷의 생식기는 부위는 부어오르며 분홍빛을 띠며 수컷에게 신호를 보냅니다. 고릴라들의 짝짓기는 일 년 내내 발생할 수 있지만 음식이 풍부한 특정 계절에 짝짓기를 더 많이 시도합니다. 고릴라의 임신기간은 8~9개월로 인간과 비슷한 기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암컷 고릴라는 일반적으로 한 마리의 새끼를 낳습니다.

 

초식동물

고릴라는 초식동물입니다. 고릴라는 주로 잎, 줄기 과일 같은 것을 먹습니다. 종종 곤충을 먹기는 하지만 식물이 식단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고릴라는 못 먹는 식물이 없습니다. 이런 다양한 식물의 섭취로 다양한 영양소를 얻으며 균형 잡힌 몸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고릴라는 계절의 변화에도 알맞은 먹이를 찾습니다. 우기에는 다양한 과일 및 기타 식물재료를 먹으며 건기에는 잎과 줄기를 먹는 데 집중합니다. 일반적으로 고릴라는 이른 아침과 늦은 오후에 먹이를 찾아다니며 중간에는 낮잠이나 휴식을 취합니다. 고릴라는 보통 사회 집단으로 생활하며 일반적으로 실버백 한 마리, 암컷 여러 마리, 그리고 새끼로 구성됩니다. 실버백으로 알려진 우세한 수컷은 식량 공급원으로 무리를 이끌고 잠재적인 위협으로부터 집단을 보호합니다. 고릴라는 별도로 물을 섭취하지 않으며 다양한 식물 및 과일에서 물을 얻습니다.

 

그들의 은신처

고릴라는 주로 아프리카의 열대 및 아열대숲에서 서식합니다. 그들의 서식지는 우간다, 르완다, 콩고 민주 공화국, 가봉, 기니, 카메룬,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서식합니다. 고릴라 서식지는 종과 특정 생활 환경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산고릴라는 일반적으로 해발이 높은 고도에서 발견됩니다. 산고릴라는 기온이 더 낮고 식물이 빽빽한 산악림, 대나무 숲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런 특성으로 산고릴라는 우간다, 르완다, 콩고 민주 공화국 국경 및 비룽가산맥에서 발견됩니다. 다른 유형으로는 서부고릴라가 있습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낮은 고도에서 서식하며 열대우림, 늪지대 숲, 사바나 숲에서 종종 발견됩니다. 고릴라는 기본적으로 풍부한 식량 공급원과 은신처를 제공하는 울창한 초목이 많은 곳에서 발견됩니다. 고릴라는 먹이를 찾는 습관, 사회 구조 및 번식을 위해서 넓은 지역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고릴라는 벌채, 농업, 광업 등 인간의 산업발전으로 활동 범위를 위협받고 있습니다. 고릴라를 위해서는 보호 구역설정, 밀렵 방지 조치 및 서식지를 보호하고 보존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야 합니다.

'포유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홉개의 꼬리 구미호  (0) 2023.03.29
우리나라에서도 매년 볼 수 있는 점박이물범  (0) 2023.03.29
인어의 기원 듀공  (0) 2023.03.22
멋진 뿔을 가진 가젤  (0) 2023.03.21
커다란 고양잇과 호랑이  (0) 2023.03.20

댓글